동 명칭 변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주민의견 조사 결과 선정된 동명칭과 동명유래

통폐합 동

봉천본동
봉천9

은천동
(
殷川洞)

Euncheon-dong

봉천2
봉천5

성현동
(
成賢洞)

Seonghyeon-dong

봉천4
봉천8

청룡동
(
靑龍洞)

Cheongnyong-dong

신림3
신림13

난곡동
(
蘭谷洞)

Nangok-dong

신림6
신림10

삼성동
(
三聖洞)

Samseong-dong

신림11
신림12

미성동
(
美星洞)

Miseong-dong

 기타 동

봉천1

보라매동

Boramae-dong

봉천3

청림동
(
靑林洞)

Cheongnim-dong

봉천6

행운동
(
幸運洞)

Haengun-dong

봉천7

낙성대동
(
落星垈洞)

Nakseongdae-dong

봉천10

중앙동
(
中央洞)

Jungang-dong

봉천11

인헌동
(
仁憲洞)

Inheon-dong

남현동

남현동
(
南峴洞)

Namhyeon-dong

신림본동


(
書院洞)

Seowon-dong

신림1


(
新源洞)

Sinwon-dong

신림2

서림동
(
西林洞)

Seorim-dong

신림4

신사동
(
新士洞)

Sinsa-dong

신림5


(
新林洞)

Sillim-dong

신림7


(
蘭香洞)

Nanhyang-dong

신림8


(
棗園洞)

Jowon-dong

신림9


(
大學洞)

Daehak-dong

 




 

Posted by 솔라리스™
:


[앵커멘트]

우리 여자 핸드볼대표팀.
정말 그 어떤 금메달보다 더 값진 동메달을 따냈습니다.

다시 한번 가슴 뭉클한 '생애 최고의 순간'을 연출하며 온 국민들에게 감동을 안겨줬습니다.
김준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 종료까지 1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스코어는 33 대 28.
이미 승부는 우리 쪽으로 기울어졌습니다.

이때 임영철 감독, 마지막 타임을 요청합니다.
임 감독이 부른 이유는, 작전 지시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녹취]
"마지막 시합이야. 너. 이해해줘야 돼. 마지막 선배들이야. 너. 그리고 홍정호, 정희, 순영이..."

이번 대회를 끝으로 은퇴하게 될 30대 중반인 오성옥과 오영란 등 고참 선수들이 피날레를 장식할 수 있게 기회를 준 것입니다.

베이징행 비행기를 타기까지 예선전만 3차례.

숱한 우여곡절을 이겨낸 평균 연령 35세인 우리 대표팀은, 아테네에서의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4년 동안 쉴 새 없이 코트를 뛰어다녔습니다.

[녹취:오성옥, 여자핸드볼 국가대표]
"사실 지금 인터뷰하니까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나거든요. 지금 참고 이겨내는 마음들이, 선수들이 보이잖아요, 그렇죠. 정말 이게 헛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경기 종료 10분 전 9점이나 뒤지고 있었지만, 극적인 무승부를 연출한 러시아전부터, 심판의 오심으로 억울한 패배를 당한 노르웨이와의 준결승전까지.

우리 대표팀의 한 경기, 한 경기는 그야말로 각본없는 드라마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헝가리전에서 투혼을 발휘하며 후회없는 한판을 치른 우리 대표팀은, 금메달보다 더 빛나는 눈물의 동메달을 목에 걸며, 다시 한번 '생애 최고의 순간'을 연출해냈습니다.

Posted by 솔라리스™
:

규칙 9 득점
9:1 볼을 던진 선수나 동료 선수가 드로 이전이나 도중에 규칙을 위반하지 않은 채 볼 전체가 골라인을 완전히 통과하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골 라인 레프리는 휘슬을 짧게 두번 불고 제스츄어 12로써 득점을 인정한다.
수비자가 규칙을 위반하더라도 볼이 골 안에 들어가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볼이 골 라인을 완전히 통과하기 전에 레프리나 계시원이 경기를 중단하는 경우에는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골키퍼가 골드로를 시행하는 상황을 제외하고 선수가 자기쪽 골 안으로 볼을 넣으면 상대팀 득점으로 인정된다. (12:2, 2번째 문단)
■ 해설:
관중을 비롯해 경기장 내부 출입을 승인 받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에 의해 득점을 방해 받았을 때 그 방해 요인이 없었더라면 반드시 득점이 됐으리라고 레프리가 확신하는 경우에는 득점이 인정된다.
9:2 레프리가 득점을 인정하여 경기속개를 알리는 드로오프 휘슬을 분 다음에는 득점을 무효화 할 수 없다(단, 규칙 2:9 해설 참조).
득점 후 드로오프를 하기 전에 경기 종료신호가 울리면 레프리는 드로오프를 하지 않고 득점으로 인정한다.
■ 해설:
레프리가 득점을 인정하는 즉시 스코어보드에 게시한다.
9:3 상대팀보다 득점을 많이 한 팀이 승자가 된다. 양 팀이 동점이나 무득점일 때는 무승부가 된다.

규칙 2 경기시간, 종료 휘슬과 타임아웃
경기시간
2:1 남녀 16세 이상의 팀 경기시간은 전.후반 각 30분이며 10분간 중간휴식을 갖는다.
(남,여 고교 및 대학, 일반)
12세-16세 청소년부 경기시간은 전.후반 각 25분, 8-12세 어린이부 경기시간은 전.후반 각 20분이며, 모두 10분간 중간휴식을 갖는다.
2:2 정상적인 경기시간이 종료되고 동점으로 끝나 승자를 가려야 할 경우, 5분 간 휴식을 가진 후 연장전을 갖는다. 연장전은 전.후반 각 5분으로 하며 1분 간의 중간휴식을 갖는다.
1차 연장전이 끝나고도 동점일 경우 5분 휴식 후 2차 연장전을 갖는다. 2차 연장전도 전.후반 각 5분으로 하며 1분간의 중간휴식을 갖는다.
2차 연장전 이후에도 동점일 경우에는 당해 대회규정에 의해 승자를 결정한다. 7m던지기로 승부를 결정하는 경우 절차는 아래와 같다.
■ 해설:
경기 종료 시에 경고, 실격이나 완전퇴장을 받지 않은 선수가 7m던지기에 참가할 자격이 있다. 각 팀은 5명을 선정하여 교대로 시행하되 드로어의 순서를 사전에 정할 필요는 없다. 골키퍼는 자유롭게 정하고 교대할 수 있다. 모든 선수는 드로어와 골키퍼로 참여할 수 있다. 레프리가 사용할 골을 결정하여 동전 토스를 통해 선공을 가린다. 5명씩 진행한 후에도 승부를 가릴 수 없을 경우에는 다시 5명을 선정하여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승부가 결정되는 골 차이가 되면 바로 종료된다. 7m던지기에 참가하는 선수도 분명하거나 거듭된 비신사적 행위(16:13)를 하면 실격될 수 있다. 이 선수가 5명 안에 들어있으면 다른 선수로 교체해야 한다.
종료 신호
2:3 경기는 레프리의 드로오프 휘슬로 시작되며, 관중석 시계의 자동 종료 신호나 계시원의 종료 신호와 동시에 종료된다.
종료신호가 없으면 레프리가 휘슬을 불어 경기의 종료를 알린다.(규칙 17: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30분 정각에 공은 라인위에 올라가지도 못했다. 그림자가 어디 있나 봐라..
그런데.. 심판 너희들은 공을 인정하다니..

또한 경기 마지막 부분에 노르웨이 선수가.. 공을 놓고 가야 하는 부분에서 공을 바로 넘겨주지
않아서 속공기회를 놓친적이 2번있었다. 왜 반칙을 불어 퇴장시키지 않는지..???

이런거는 진짜 제소감이다.
그런데.. 여지껏 제소해서.. 된적은 없지만 우리나라 IOC위원 한명더 늘었으니..
제소해서 부당한게 판명되면 해당 심판,감독관(스웨덴 경기 감독관인 닐슨 그린)을 자격정지 10년 정도 처했으면 좋겠다.
영구제명도 괞찬다. 이런게 있었다면 이렇게 쉽게 판정을 하지는 않을텐데..

정말 아깝다.

-- 추가기사 :  女핸드볼, ‘종료 후 골’ 오심 공식 제소 결정
4년동안의 노력이 심판의 석연찮은 판정으로 인해 금메달 꿈이 좌절된 한국 여자 핸드볼 대표팀이 국제 핸드볼 연맹(IHF)에 공식적으로 오심을 제소하기로 결정했다. 대한 올림픽 위원회도 IHF에 소청을 내기로 했다. 그러나 한국팀의 이의 제기가 받아들여지기는 힘들어 보인다.

김진수 대한핸드볼 협회 부회장은 노르웨이전이 끝난 후 "명백한 오심이다. 9시간내에 제소해야된다는 국제 연맹 규정에 따라 내일 오전까지 500 스위스 프랑과 함께 관련 서류를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분명 부저가 울린 후 골이 들어갔다. 한국에서 텔레비젼을 본 협회 관계자들도 1.5초에서 2초 정도 시간이 흐른 후 골이 들어갔다는 연락을 해왔다"고 말하며 명백한 오심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골인 여부를 가장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비디오 판독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부회장은 현장에서 곧바로 요청했지만 스웨덴 경기 감독관인 닐슨 그린이 이미 골로 인정했다는 것. 또 그린 감독관이 비디오 판독은 하지 않겠다고 이미 밝혔다고 한다.

한편 임영철 여자 핸드볼 대표팀 감독은 "아시아 예선 재경기, 무효 후 세계 대회에 출전해서 겨우 티켓을 따서 여기에 왔는데 또 다시 심판의 판정으로 인해서 우리가 피해를 봐야하다니 말이 되느냐"라며 억울해 했다.

판정 번복 여부에 대해서 임감독은 "올림픽 역사상 재경기가 이루어진 적은 없는 것으로 안다. 경기 결과는 번복 안될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것은 명백한 오심이라는 점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골인정 여부 뿐 아니라 임 감독은 "4초를 남기고 하프라인부터 시작한 노르웨이의 마지막 공격도 파울이었고 골을 넣은 선수도 오버스텝이었다"고 주장했다.

경기 후 곧바로 코트를 떠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임 감독은 "경기 후 양쪽 감독과 심판, 감독관이 서류에 사인하게 되어 있다. 7~8분 정도 흘렀을 때까지 사인을 하지 않았다. 또 곧장 떠나는 것은 오심을 인정하는 것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내가 남아 있으라고 지시했다"고 해명했다.

베이징=이석희 기자
Posted by 솔라리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6시 49분에...

갑자기 내리던 비가 그치고.. 문득 하늘을 봤는데..

 

와~~ 무지개..

정말 내평생 처음 서울에서 무지개 보는것 같네요.

Posted by 솔라리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모야.. 어쩔꺼여 ?

일반적으로 국기를 거꾸로 하는 경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의미는 '국가가 위기에 처해서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나 그 국가에 대한 모욕이나 굴욕의 표현이며.. 전쟁이나 전투에서 국가나 요새가 점렴 당한걸 의미합니다.. 또는 조난을 의미 한다는군요
( 이명박 대통령도 한국이 위기에 처한 사실은 알고 있는건가 ? 알고 있음 제대로 해야지..  푸틴대통령한테 부채질 해주지 말구.. )

-- 공부좀 하자.. 추가함.. --
국기(太極旗)에 대한 상식


▶ 대한민국 국기. 대한민국을 상징하고 그 주권과 국위를 나타내는 표지이다.

▶ 제정유래

 국기문제가 처음 거론된 때는 1880년(고종 17)이다. 일본에서 귀국한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가져온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에서 조선이 중국용기(中國龍旗)를 군기와 국기로 사용하도록 권고한 내용에 따라 조선정부는 청(淸)나라에 자문을 구하게 되는데, 그것이 어느 정도 구체화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 뒤 1882년 4월 6일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될 때 조선의 전권부관 김홍집과 청사(淸使) 마건충(馬建忠) 사이에서 국기문제가 재론되었다. 마건충은 중국 용기의 사용을 반대하고 11일 흰색 바탕 중앙에 반홍반흑(半紅半黑)의 태극도(太極圖)와 그 둘레에 팔도(八道)를 뜻하는 검은색 팔괘(八卦) 및 빨간색 주연(周緣)이 있는 도식을 제안하였다. 같은 해 8월 9일 특명전권대사 겸 수신사 박영효(朴泳孝)가 메이지마루[明治丸(명치환)]를 타고 일본에 가던중 영국인 선장과 상의하여 태극기 대·중·소 3본(本)을 만들었으며, 태극도가 마건충이 제안한 반홍반흑에서 반홍반청으로, 팔괘가 사괘로 발전하였다.

 박영효는 8월 22일 태극기 소본(小本)과 국기제정 사실을 군국기무처에 보고하였으며, 1883년 1월 27일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장계(狀啓)에 따라 팔도사도(八道四都)에 행회(行會)함으로써 태극기가 정식 국기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 뒤 사괘와 태극양의(太極兩儀)의 위치에 통일성이 없었으나 1948년 정부수립을 계기로 도안과 규격을 통일, 1949년 10월 15일 문교부고시 제2호로 현행 태극기를 대한민국 국기로 정식 공포하였다. 그 뒤 문교부개정고시 제3호(1950. 1.25)에 의거하여 국기제작법이 공고, 시행되었으며, 대통령고시 제2호(1966. 4.25)에 의거하여 국기게양법이 공포, 시행되었다.

▶ 구조와 원리

 태극기는 흰색 바탕의 중앙에 음(陰, 靑)·양(陽, 紅) 양의(兩儀)가 포함된 일원상(一圓相)의 태극이 있고 건(乾)·곤(坤)·감(坎)·이(離)의 4괘가 네 귀에 배치된 구조이다. 흰 바탕은 순일무잡(純一無雜)한 한민족의 동질성과 결백성 및 평화애호성을 상징한다. 중앙의 태극무늬는 고대로부터 한민족이 사용해 온 것으로, 628년(신라 진평왕 50) 건립된 감은사(感恩寺)의 석각(石刻)과 1144년(고려 인종 20)에 죽은 허재(許載)의 돌널[石棺(석관)] 등에 이미 그 무늬가 나타나고 있다. 태극은 우주만상의 근원이고 인간생명의 원천으로서 사멸이 없는 영원의 상(相)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존귀를 의미하는 붉은 색의 양과 희망을 나타내는 청색의 음이 위아래로 머리와 뿌리를 맞댄 대립관계 속에서 상호의존하여 생성, 발전하는 모습이며 이를 화합하고 통일하는 것이 일원상의 태극이다. 4괘는 건[乾(건);≡ 천(天)·춘(春)·동(東)·인(仁)], 곤[坤(곤);지(地)·하(夏)·서(西)·의(義)], 감[坎(감);월(月)·동(冬)·북(北)·지(智)], 이[離(리);일(日)·추(秋)·남(南)·예(禮)]인데, 건은 태양(太陽)으로서 양이 가장 성한 방위에, 곤은 태음(太陰)으로 음이 가장 성한 방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감은 소양(少陽)으로 음에 뿌리를 두고 자라나는 모습을, 이는 소음(少陰)으로 양에 뿌리를 박고 자라나는 모습을 표현한다.

 건은 이로, 이는 곤으로 성장하며, 곤은 감으로, 감은 건으로 성장하여 무궁한 순환발전을 수행한다. 즉 음양이 생성, 발전하는 창조적인 우주관을 담고 있다. 태극기 전체로는 평화·단일·창조·광명·무궁을 상징한다.


▶ 제작 및 게양

 태극기의 깃면은 길이와 나비의 비율이 3:2이다. 깃봉은 아랫부분에 꽃받침이 5개 있는 무궁화봉오리모양으로 황금색으로 한다. 깃대는 대나무·쇠 등의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고, 색은 대나무색이나 이와 비슷한 색으로 한다. 국기는 비나 눈이 내리지 않는 날에 게양함을 원칙으로 하며, 하절기(3~10월)에는 오전 7시에서 오후 6시까지, 동절기(11~12월)에는 오전 7시에서 오후 5시까지 게양한다. 경축할 때는 깃봉과 깃폭을 사이 없이 달고, 조의를 표할 때는 깃폭만큼 내려서 달거나 깃대가 짧을 경우는 깃대의 한중간에 단다. 외국기와 같이 게양할 때는 최우선의 위치에 단다. 태극기와 외국기 하나를 같이 세울 때 태극기는 왼쪽, 교차시에는 태극기의 깃면이 단상을 향하여 왼쪽에 오게 한다. 외국기가 홀수인 경우 태극기는 중앙에 게양하고 외국기가 짝수이면 맨 왼쪽에 게양한다. 또한 기폭만 달 경우 바로 달 때는 건을 왼쪽 위로, 늘여서 달 때는 건을 오른쪽 위로 오게 한다. 일반가정의 대문에는 집 밖에서 보아 왼쪽에 세우고, 아파트에서는 밖을 향하여 베란다 오른쪽에 게양한다.


-- 추가끝 --

또 중국국기가 꺼꾸로 된 일이 있는데..
아래는 퍼온글.. (
http://blog.daum.net/yoizu/16813415 )

사용자 삽입 이미지

8월 8일 올림픽 개막식에서 쓰촨지진의 이재민 소년 린하오(林浩)의 손에 들린 중국 국기가 거꾸로 달려 있다. 별 다섯개가 윗쪽이 아니라 아랫쪽으로 가 있다. 중국인들이 100년 동안 기다려 왔다는 이런 중대한 올림픽 행사에서 어찌 이런 일이 발생했을까?

일반적으로 국기를 거꾸로 하는 경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의미는 '국가가 위기에 처해서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쓰촨지진에서 부실공사로 지어진 많은 학교가 무너져 수많은 학생들의 인명을 앗아갔는데 중국 당국은 그 부모들에게는 어떤 위로도 사과도 하지 않고 있다.

중국은 이번 개막식에서 지진피해 소년 린하오를 정치적인 '꽃병'으로 이용해 지진에 대한 책임을 덮으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런 '불상사'가 발생한 것은 중국 당국이 지진 사망자 수를 정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어 사망자들이 죽어서도 눈을 감지 못하고 있어서일까? 그래서 죽은 원혼들이 전세계를 향해 '도와달라고' 호소하는 뜻이 아닐까?



Posted by 솔라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