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워터 개방수역 다이브 :: 인양시 매듭법
취미 그리고 여행/PADI 2021. 9. 17. 23:41 |#1. 보우라인( 고리매듭 )
** 물체를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매듭으로 쉽게 풀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시트벤드 ( 겹친매듭 )
** 줄의 길이가 부족하여 연장할떄 사용되는 매듭으로 당기면 당길수록 더 조여진다.
#3. 투앤하프 히치
** 어떤 물체를 고정시킬떄 사용하는 매듭으로 보트를 정박할때 많이 사용한다.
#1. 보우라인( 고리매듭 )
** 물체를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매듭으로 쉽게 풀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시트벤드 ( 겹친매듭 )
** 줄의 길이가 부족하여 연장할떄 사용되는 매듭으로 당기면 당길수록 더 조여진다.
#3. 투앤하프 히치
** 어떤 물체를 고정시킬떄 사용하는 매듭으로 보트를 정박할때 많이 사용한다.
1. 브리핑
- 스킬#1 : 조절된 비상 수영상승 ( CESA : Controlled Emergency Swimming Ascent )
- 실행달성조건 : 조절된 비상수영 상승을 수심 6~9미터에서 실시하고 수면에서 양성부력을 확보하기
- 가치 : 공기가 부족한경우 주위에 공기를 나누어줄 버디가 없을떄 혼자 비상상승하여 부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알게되었습니다.
2. 스킬 실행방법 요점/설명
(1) 레귤레이터를 입에 물고 있을것
(2) 웨이트를 풀지 말것
(3) 통제라인을 보조로 사용하지 않는다 ( 강사의 통제를 위한 긴급정지를 위함 )
(4) 정상적인 상승속도를 유지, 핀킥을 천천히 ( 분당 18미터 속도이므로 9미터는 30초 )
(5) 상승중 과도 공기배출을 준비하기 위하여 디플레이터를 잡는다.
(6) 상승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소리를 낸다.
(7) 만약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상승을 준비하게 되면 정상호홉 실시
(8) 수면에 도달하면 BCD를 입으로 부풀리거나 웨이트를 버릴것 ( 웨이트 버릴때는 아래에 다른 다이버 있는지 확인하도록 한다 )
3. 수신호
(1)
4. 조직과 진행
- 써지 또는 조류등으로 물의 움직임이 심한 곳에서는 실시하지 않는다.
- 수면부이에 연결된 수직통제라인을 설치하여 사용
- 통제라인은 강사가 한손으로 잡거나 다리로 줄을 감아서 상승정지 가능해야 한다. 나머지 손은 학생을 잡는다
( 한손으로 통제라인과 학생의 BCD고리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상승시 기포를 내보내는지 확인 )
-한번에 한명씩 진행
- 한손으로 학생을 잡고 라인과 접촉을 유지 / 준비되면 상승신호를 주어 상승을 시작.
- 강사가 학생과 상승할떄 다이브마스커에게 수중에 남은 학생들의 관찰을 위탁
- 실습을 마친 학생은 다시 입수하여 다른 학생들과 함께 다이브마스터에게 관찰을 위탁한다.
5. 시범 : 없음
- 기억할 사항 :
(1) 상승시작시에 중성부력인것을 확인한다.
(2) 상승속도 및 소리를 내는지, 수면에서 부력 확보
(3) 통제라인과 학생을 동시에 접촉하여 상승중단가능
(4) 상승중단시는 호홉을 정상적으로 다시 진행
6. 실습중 필요사항
- 학생은 통제라인을 사용하지 않음.
- 상승은 분당 18미터를 초과하지 않게 관찰, 학생을 가까이 그리고 약간 아래에 두어 학생이 소리를 내는지 확인
( 레귤레이터를 잡음으로서 진동을 느낄 수 있음 )
- 숨을 내쉬는게 아닌것 같을떄는 상승을 중지하고 정상호홉을 하게 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도
7. 디브리핑
1) 긍정적인 칭찬 ( 테크닉과 관련된 ) :
- 칭찬 포인트 :: 출발시 바닥 휘젓지 않음 / 상승속도 / 디플레이터 들기 / 소리를 내면서 상승 지속 / 위를 보면서 상승
2) 실제로 발생한 문제들의 진술 :: 실수했던 부분 또는 강사가 실습도중 지적한 부분들
3) 적절한 테크닉 강조 :: 실수들에 대한 방법에 대하여 테크닉적 조언
( 소리를 중단에 멈출때는 천천히 지속해야 함. / 웨이트 버릴떄는 아래 다이버 확인 필요)
4) 실행달성조건 재진술 :: 조절된 비상수영 상승을 수심 6~9미터에서 실시하고 수면에서 양성부력을 확보하기
5) 가치 재진술 :: 공기가 부족한경우 주위에 공기를 나누어줄 버디가 없을떄 혼자 비상상승하여 부력을 확보하는 방법을 알게되었습니다.
1. 브리핑
- 스킬#1 : 수중 나침판 항법
- 실행달성조건 : 나침판을 사용하여 직선 왕복 코스를 수영하기
- 가치 : 나침판을 사용하여 직선으로 갔다가 어떻게 다시 출발지점으로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2. 스킬 실행방법 요점/설명
(1) 하강라인이나 앵커라인과 같은 고정된 참고 지점에서 시작한다.
(2) 참고지점으로 부터 정해진 숫자의 킥 사이클을 이용하여 10~20킥을 이동하여, 위치파악을 위하여 위를 쳐다보지 않는다.
(3) 되돌아서서 올때 참고지점인 출발점까지 돌아오게 한다.
(4) 나침판을 사용하는 버디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러버리인을 맞추고 멀리 떨어진 물체 또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수영
:: 수중바닥은 참고물이 되므로 다이버들을 바닥 가까이 머물에 한다.
(5) 학생이 돌아와서 시작지점을 찾지 못하면 수면으로 상승하여 출발점을 확인하고 얼마나 정확했는지 확인하게 한다
(6) 러버라인 방향의 각도 + 180 ( if 360 > X 인 경우는 러버라인방향의 각도 + 180 - 360 )
3. 수신호
(1) ??
4. 조직과 진행
- 강사와 학생 한명씩 수중에서 진행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입수후 출발점 근처에서 다이브마스터와 대기
- 학생은 나침판으로 지정된 각도로 약 20 핀킥을 이동한다. 강사는 학생의 좌측에서 동행한다.
5. 시범 : 없음
- 기억할 사항
(1)
6. 실습중 필요사항
- 20킥을 넘어섰을떄 학생을 정지시켜서 돌아가도록 진행한다.
- 지정된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을떄는 학생의 나침판 각도대로 이동하도록 보조한다.
- 학생이 돌아와서 시작지점을 찾지 못하면 수면으로 상승하여 출발점을 확인하고 얼마나 정확했는지 확인하게 한다
7. 디브리핑
1) 긍정적인 칭찬 ( 테크닉과 관련된 ) :
- 칭찬 포인트 :: 나침판 보는 위치, 나침판의 각도대로 20핀킥 이동, 정상적으로 출발점으로 되돌아 가기
2) 실제로 발생한 문제들의 진술 :: 실수했던 부분 또는 강사가 실습도중 지적한 부분들
3) 적절한 테크닉 강조 :: 실수들에 대한 방법에 대하여 테크닉적 조언 ( )
4) 실행달성조건 재진술 :: 나침판을 사용하여 직선 왕복 코스를 수영하기
5) 가치 재진술 :: 나침판을 사용하여 직선으로 갔다가 어떻게 다시 출발지점으로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었습니다.
1. 브리핑
- 스킬#1 : 조절된 하강하기 ( 5단계법을 이용한 조절된 하강 )
- 실행달성조건 : 하강라인이나 경사진 바닥의 형태를 통제와 참고물로 사용하여 12미터를 초과하기 않는 수심으로 하강하기 ( 수중에서)
- 가치 : 하강하는 방법, 자세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주기적인 압력평형이 필요함을 경험하여 앞으로 다이빙을 위한 조절된 하강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스킬 실행방법 요점/설명
(1) 하강신호 / 수면에 있는 물체로 방향감각 확인 / 스노클을 빼고 레귤레이터로 바꿈 / 시간 또는 다이브컴퓨터 확인 / BCD공기 빼고 하강
3. 수신호
(1) 하강신호 : 주먹을 쥐고 엄지를 아래로 가르키며 하강신호, 해당 신호를 보면 OK 사인 ( 전원이 OK 를 해야함 )
(2) 주변확인 : 손가락으로 주변을 회전하여 지형지물 가르킴. ( 수중바닥까지 )
(3) 스노클을 뺀후 레귤레이터를 입에 뭄. ( 별도 수신호 없음 )
(4) 다이빙컴퓨터 확인 : 소지하고 있는 다이브 컴퓨터를 손으로 가리킴.
(5) 하강 : 이퀄라이징 준비를 하고 레귤레이터를 높이 들고 공기를 빼면서 하강.
4. 조직과 진행
- 경사진 바닥이 있는 경우 바닥을 따라서 또는 하강라인이 있는 곳에서는 라인을 따라 학생 다이버들이 하강진행
- 라인은 해변에서 트레이닝 지역까지 바닥을 따라 놓이거나 보트의 앵커라인 또는 수직으로된 하강라인
- 제한수역3을 완료했다면 버디와 함께 진행 ( 강사1, 학생2 ), 아니라면 1:1로 진행 필요
- 첫번째 입수의 경우 다이브마스터와 동행하여 다음 학생이 진행될때까지 수중에서 학생들을 케어 진행
- 입수후 남은 학생들은 하강라인을 잡고 있거나 보조라인을 잡고 있거나 또는 앝은 수면에서 대기하고 마지막 학생까지 진행
- 개방수역 다이빙의 학생:강사의 비율은 8:1 ( 12미터 5분 8회까지는 안전정지 없음 / NDL : 147분 )
5. 시범 : 없음
- 기억할 사항
(1) 발부터 하강하거나 방향감각 유지를 위해서 적어도 머리가 발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함.
(2) 이퀄라이징(압력평형)은 일찍 자주 해야함
(3) 이퀄라이징(압력평형)이 안되면 하강라인이나 바닥을 이용하여 하강을 중단
(4) 천천히 하강하되 바닥을 휘젓거나 해치지 않도록 조심해야함.
6. 실습중 필요사항
- 5가지 수신호를 한번씩 따라하게 하여 5단계법 숙지
- 발부터 또는 머리가 발보다 아래로 하강하는 경우 하강을 멈추고 자세교정
- 이퀄라이징을 수시로 해야함을 강조 ( 하강시 주기적으로 문제없는지 확인 )
- 이퀄라이징 문제 발생시 하강라인 또는 바닥을 이용하여 약간 상승후 해결된 상태에서 하강을 계속 진행
- 하강이 완료된 이후 핀으로 바닥을 휘젓지 않도록 편안한 자세 유지후 대기하고 마스터에서 학생 확인 요청
7. 디브리핑
1) 긍정적인 칭찬 ( 테크닉과 관련된 ) :
- 칭찬 포인트 :: 5단계법 숙지, 하강시 레귤레이터 위로 들고 공기빼기, 하강자세, 압력평형 자주하기 , 바닥에서 편안하게 대기하기
2) 실제로 발생한 문제들의 진술 :: 실수했던 부분 또는 강사가 실습도중 지적한 부분들
3) 적절한 테크닉 강조 :: 실수들에 대한 방법에 대하여 테크닉적 조언 ( 압력평형은 아프기 전에해야함 등등 )
4) 실행달성조건 재진술 :: 하강라인이나 경사진 바닥의 형태를 통제와 참고물로 사용하여 12미터를 초과하기 않는 수심으로 하강하기
5) 가치 재진술 :: 하강하는 방법, 자세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주기적인 압력평형이 필요함을 경험하여 앞으로 다이빙을 위한 조절
된 하강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5 Point Descent PADI - All Problems & Solutions • PADI IDC Course
** 5단계 상승
1. 브리핑
- 스킬#1 : 마스크 벗고 다시 착용하기
- 실행달성조건 : 마스크를 벗고 다시 착용하고 물빼기 ( 수중에서 진행 )
- 가치 : 수중에서 무언가 또는 누군가와 잘못하여 부딪혀 마스크가 벗겨질 경우를 대비하여 벗겨진 마스크를 다시 쓰고 마스크의 물을 빼고 다시 볼수 있도록 해주는 스킬입니다.
2. 스킬 실행방법 요점/설명
(1) 마스크를 벗기전 수온적응을 위하여 천천히 물을 채움.
(2) 마스크를 벗어 두손으로 소중하게 보호하고, 코부분이 어디인지 확인
(3) 후드착용시에는 마스크씰(스커트)이 후드에 걸리지 않았는지 확인 필요
(4) 마스크 다시 착용 후 머리카락, 스노클 등의 정리.
(5) 입으로 호흡을 들여 마신 후, 시선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며 코로 호흡을 내쉬며 마스크의 물 빼기
3. 수신호
(1) 마스크에 물채우기 ( 스커트 상단 개방 및 손가락으로 마스크 유리부분으로 물찬모습 강조 )
(2) 마스크 벗는 동작.
(3) 마스크 물빼기시 마스크 위를 누르고 시선은 위로하고 코로 호흡을 내쉬면서 물빼기 진행
4. 조직과 진행
- 수중에서 중성부력을 유지하고 민감하지 않은 바닥에 핀을 닫게 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 ( 강사앞에 일렬 또는 원형으로 위치 )
- 마스터의 위치는 학생앞에 있는 강사와 같은 위치 ( 뒤에 있으면 마스크를 볼 수 없음 )
- 학생의 시범은 한명씩 진행하되 시범학생은 강사와 밀접하게 있어야 하므로 나머지 인원은 마스터에게 확인요청
- 학생들은 1명씩 강사의 지시에 따라 마스크를 완전히 벗었다가 다시 쓰기를 실습 진행
- 마스크를 뒤집어 쓰려고 하는 경우 :: 강사가 방향을 바로잡아서 쓰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
- 무의식적으로 코로 물을 들이쉬는 경우 :: 강사가 코를 잡아서 입으로만 호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
- 렌즈 착용자는 마스크에 물이 찾을떄와 벗었을떄 눈을 감아야함을 안내함.
5. 시범 : 없음
- 기억할 사항 : 마스크를 벗었을때 손에서 떨어지지 않게 잘 잡고, 쓸떄는 코위치를 확인함. 마스크 착용후 마스크에 머리카락이 끼어 있지 않는지 확인, 마스크 물때기 진행시에는 시선을 위로 향함. 렌즈착용시는 마스크 벗었을떄 눈을 감음.
6. 실습중 필요사항
- 마스크를 벗었을떄 호홉하지 않음 :: 레귤레이터를 손으로 터치하고 강사 레귤레이터앞에 손으로 호홉을 해야 함을 강조함.
- 마스크를 벗고 보관을 정확하게 하지 않음 :: 마스크를 떨어뜨리거나 몸앞에서 정확히 간수하지 않을떄 마스크를 몸앞에 가져다줌.
- 물빼기시에 위를 보지 않고 할떄 : 턱을 위로 들어서 바로 위를 볼 수 있도록 함.
- 코로 공기를 뿜어내어 물빼기 하지 못하는 경우 : 코를 터치하여 코를 이용하여 물빼기 해야 함을 강조
- 실습 완료후 추가필요한 정보를 바로 바로 제공 ( 너는 생각해야한다. 잘못한것을 .. )
7. 디브리핑
1) 긍정적인 칭찬 ( 테크닉과 관련된 ) : 실습시 잘한 부분을 칭찬함. ( 코로 물잘뺌, 물빼기시 위를 보고 함 )
2) 실제로 발생한 문제들의 진술 :: 실수했던 부분 또는 강사가 실습도중 지적한 부분들
3) 적절한 테크닉 강조 :: 실수들에 대한 방법에 대하여 테크닉적 조언 ( 물뺄떄 위를 보고 해야 공기가 물을 밀어낼 수 있음 )
4) 실행달성조건 재진술 :: 마스크를 벗고 다시 착용하고 물빼기
5) 가치 재진술 :: 마스크가 벗겨질 경우를 대비하여 벗겨진 마스크를 다시 쓰고 마스크의 물을 빼고 다시 볼수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