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많은 분들이 페이스북 크레딧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저 또한 소셜 서비스를 사업 아이템으로 기획하는 사람으로 이와 관련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오늘은 자신들이 구축한 플랫폼에서 영악하게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페이스북 크레딧 서비스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읽기전에 아래 글을 먼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페이스북의 최대 경쟁상대는 아마존?
- 이베이와 페이스북, 아마존 가상화폐 전쟁이 시작되다
- 페이스북의 정책 변화와 새로운 수익 모델들..

페이스북이 말하는 '크레딧' 서비스는 무었인가? 크레딧 서비스는 일종의 결제대행 서비스 또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정도로 정의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2007년 12월경 처음으로 언급된 이 가상화폐는 2008~2099년사이에 페이스북 장터에서 기프트숍등에서 선물을 살 때 결제를 페이스북이 만든 크레딧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서비스로 최근엔 써드파티 애프리케이션용 크레딧 서비스를 도입하며 정책적으로 의무 사용을 공개해 입주 업체인 징가, 팜빌등과 마찰을 빚기도 했습니다.


왜? 페이스북이 크레딧을 만들려는 것일까? 생각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건 단순하게 보면 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싸이월드의 도토리를 통해 학습 했듯이 사이버 머니는 더 이상 가상 공간의 통화가 아닌 실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돈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도 이에 대해 큰 반감을 가지지 않는 상태있고 말이지요. 광파리님의 "페이스북이 3억5천만명에게 '도토리' 팔면 대박 아닐까?"의 글을 보면 기프트숍 매출이 7800만달러에 이른다고 합니다.

가상화폐 환률로보면 1센트당 10크레딧을 적용하고 있고 작년 11월 기준으로 24개국에서 이 크레딧 서비스를 적용하고 해당 국가 환률차를 고려해 차등 적용한다고 했답니다.

7800만덜러의 기프트숍 매출에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로 확대는 물론 여러 나라의 페이스북 이용자까지 이 서비스에 동참 할 수 있게 한다면 봉이 김선달식으로 돈을 쓸어 모을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온라인 통화 결제 수수료를 30%로 계획 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경우 수익이 장난이 아니란 사실을 바로 깨달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크레딧' 정책의 핵심은 무었일까? 한마디로 말하면 자신들이 만든 오픈 장터에 쇼핑이 가능한 서비스로 만들겠다가 정답이겠네요. 즉 리바이스 청바지도 사고 게임도 구매해 이용하고 책도 사볼 수 있는 시스템이 궁극적인 크레딧 정책의 핵심입니다.

또, 결제 모듈을 오픈하여 써드파티들이 이 결제 모듈을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명실 상부한 전세계의 금융결제 허브를 꿈꾸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이 때문에 사실 온라인 게임으로 유명한 팜빌과 징가가 페이스북과 맞찰을 빚기까지 했습니다. 징가 같은 경우만 해도 독자적인 결제 서비스가 있는 상황에서 수수료를 30%나 주고 이 서비스를 이용하라고하니 맞찰을 빚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지요.

현재는 징가의 재계약 합의로 일단락 된것으로 보이지만 아예 불씨가 꺼진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에게 많은 영감을 제공하는 DDing님의 글인 "페이스북과 Zynga의 5년 계약이 소셜게임에 주는 영향"이란 글을 통해 보면 징가 게임의 대다수 유저가 페이스북을 통해 접속하고 있어 발을 빼기 힘든 상황이고 페이스북도 징가가 빠진다면 다른 서비스들의 연쇄 이탈이 우려되 합의점을 찾은 것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제 예상에는 가장 큰 이견이 있을 수 있는 수수료 부분을 서로 한발씩 양보하는 수준에서 합의된게 아닐까 예측됩니다.


페이스북 '크레딧'으로 공공의 적이 되다? 이미 아마존이 페이먼트, 구글 체크아웃, 이베이 페이팔, 등으로 온라인 크레딧 시장이 형성된 상황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SNS 서비스들이 자체 결제 시스템을 가동함으로 인해 시장은 혼전 양상이 되고있습니다.

구글도 오늘자 기사인 "구글 공짜시대 끝나나?"란 기사를 통해 뉴스패스란 웹 컨텐츠 전용 결제 서비스를 만들어 언론사들과 협력한다는 기사를 내보내며 페이스북에 제동을 걸려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이 공공의 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크레딧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아마존이나 이베이 같은 쇼핑 중심 서비스들에겐 큰 위기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이용자는 더이상 아마존, 이베이를 이용하지 않고도 쇼핑을 페이스북에 이용 할 가능성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바로 리딩 서비스의 파워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싸이월드 도토리와의 결정적 차이는 무얼까?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능자체는 똑같고 개념도 거의 똑같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싸이월드는 자체적인 스토어 (아이템구매, 음악 구매.. 등)을 중심으로 한 것인데 반해 페이스북은 이런 결제 시스템을 오픈해 써드파티들과 페이스북 장터에 입주한 각종 서비스 업체(게임, 음악, 이미지.. 등)를 통해 수익을 쉐어한다는 부분이 다른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 Web2.0 정신에 기초한 서비스가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관점에서 봤을때 싸이월드는 아직 막혀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 것입니다.

즉, 결정적 차이는 생각과 자세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모르고 있을 분들은 아니고 아마도 SKT와의 역학 관계에서 한계도 일부 작용한 것이라 애써 해석하고 싶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한국의 서비스가 막혔다고들 합니다. 저도 한국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획했던 사람 입장에서 또, 새롭게 일을 추진하는 사람 입장에서 한국 사람이 막혔다기 보단.. 이런 이야기를 하시는 모든분들의 사고와 기업, 국가 정책이 모두 막혀있다가 정답이란 생각을하며..

한국에도 좀 더 거시적 관점에서 새로운 신 산업이 확대되고 이런 지식 체계와 혁신이 일어나길 기대하며 이번 글을 마치겠습니다.
Posted by 솔라리스™
:
facebook에서 지원하는 Like(좋아요)를 다는 방법은 제일먼저 facebook에 가입하는 절차부터 시작해야 한다. 가입은 www.facebook.com 에서 가능하도 메일주소만 있으면 가능하다.

두번쨰 API 사용을 위하여 간단하게 http://developers.facebook.com/setup/ 에 접속하면 Set Up New Application을 누르면 된다.

Like 버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Application ID만 있으면 가능하다. 샘플을 위하여 자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페이지에다가 iframe을 사용하여 하나를 붙여본다.

우선 소스를 모르니.. 아래와 같이..
http://developers.facebook.com/docs/reference/plugins/like 에 접속, 중간에 있는 정보를 모두 입력하고 나면 Get Code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코드를 얻을수 있다.

<iframe src="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href=http%3A%2F%2Fexample.com%2Fpage%2Fto%2Flike&amp;layout=standard&amp;show_faces=true&amp;width=450&amp;action=like&amp;colorscheme=light&amp;height=80" scrolling="no" frameborder="0" style="border:none; overflow:hidden; width:450px; height:80px;" allowTransparency="true"></iframe>

위 내용에는 도메인 정보나 기타 사항들이 빠져 있지만 다 채워넣으면 된다. 그리고 나서.. 티스토리에서 붙여 넣으려면 글쓰기를 다 하고나서 HTML로 변경, 맨 마지막에 위 코드를 추가한다.

그러면 글의 하단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다.
좋아요 버튼을 눌러서 코멘트를 입력하면 자기의 facebook으로 바로 연결되도록 될 수 있으나 각각의 페이지마다 도메인을 바꿔가며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은 있다.

이 불편함을 해소하려면 스킨편집을 통하여 FBML을 추가하고 버튼을 원하는 위치에 모든 페이지마다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Posted by 솔라리스™
: